당신의 재무 동반자, 골든트리 LIFE
비상계엄과 탄핵정국의 도래로 정치와 사회, 경제 전반의 불확실성이 증가하는 상황입니다.
향후 이러한 불확실성의 지속기간과 양상에 따라 주식시장의 방향과 변동성이 영향을 받을 것입니다
과거의 사례를 보면
2004년 노무현 대통령의 탄핵소추안 발의전 900pt선 이었던 코스피는
탄핵소추안 의결과 헌법재판소 기각을 거치면서 768pt로 저점을 형성했고
이후 1년 경과 시점에서 1000pt를 돌파했습니다.
2016년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소추안 발의전 코스피는 1970pt선이었는데,
탄핵 소추안 의결당시 2000pt를 넘었고 2017년 헌법재판소 인용 이후의 기간에는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그해 10월에 2500pt선에 다다른 바 있습니다.
이때는 탄핵보다는 당시 트럼프 트레이드의 영향이 더 컸다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두 국면의 차이는 불확실성의 여부이며 (노무현 대통령 당시 > 박근혜 대통령 당시)
그 밖의 글로벌 경기와 경제 변수들의 영향이 종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향후의 전개 양상과 이에 따른 대내적, 대외적 여건의 변화에 따라 시장의 변동성이 달라질 수는 있겠습니다.
일단은 그러한 외생변수요인에 의해 유발되는 불확실성을 걷어내고 경제 실질 측면의 시각에서 시장을 본다면,
현재 미국과 우리 시장의 갭이 확대되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경제실질의 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최근 발표된 미국 ISM제조업 지수는 11월 구매관리자지수 48.4, 신규주문지수 50.4로
견고한 미국경기를 재확인했습니다.
최근 쇼핑시즌에서 강한 소비경기를 확인한 기업들의 심리도 회복 추세를 보이고 있고,
테마업종들의 모멘텀도 강해지면서 대형주과 소형주의 교차적 랠리 양상을 보이고 있어
아직은 PER의 확장 추세의 여지가 남아 있다는 판단을 가능하게 하고 있습니다.
현재 S&P500 12개월 선행PER은 23배에 육박하는 수준이지만 단지 PER가 높다는 이유로 주가가 하락하지 않는다는 팩트를
감안했을 때, 향후 기업이익의 호조세가 지속된다면 미국시장의 추가적 상승세가 가능하다는 판단입니다.
아래 그림은 이러한 논지하에서 내년 1분기 S&P500의 궤적을 예상하고 있고,
1년 수익률과 PER의 상관관계를 말해주고 있습니다. (출처: 신한투자증권)
한편 우리 한국 시장은 국내 경기사이클의 수축사이클 진입, 성장률 전망의 하향조정, 수출증가율의 부진 등
경제 실질 측면에서 주가 상승을 지지할 만큼의 펀더멘털을 만들어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여러 여건을 감안했을 때 12월 코스피 밴드는 2400~2600pt의 박스권 움직임을 예상하는 것이 시장의 컨센서스입니다.
코스피 상방은 펀더멘털 부재로 제한적이며 하방은 2400선을 지지하는 순환매 성격의 장세가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이는 12개월 선행 PER 8.2~8.8배, PBR 0.84~0.91배 수준입니다.
기타, 금리는 미 연준의 금리인하 당시 과도하게 반영되어 있었던 금리인하 기대감이 점차 조정되고
트럼프 트레이드의 강도가 다소 둔화되어가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서,
향후 전반적
금리기조 안정화 방향의 움직임을 보일 것으로 전망합니다.
이러한 현재의 시장움직임을 감안했을 때,
지난 11월 리밸런싱에서 해외자산과 국내 자산의 비중을 조정했던 방향성은
시기적으로 상당히 적절했다 할 수 있겠습니다.
12월은 이러한 시장 방향과의 일치성이 한층 강화된 골든트리 자문형 MP의 연금저축, 퇴직연금, 4차산업 라인업과
ISA ETF포트폴리오 상품 등 주요 MP에 대한 관심과 함께
낙폭과대 실적주, 안전마진 확보가 가능한 중대형 고배당주, 선별된 테크/바이오주와 중장기 채권을 중심으로 한
포트폴리오의 유효성이 증대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합니다.
참조로 골든트리 주요 MP의
성과를 첨부합니다.
연금저축A형 (최근 1년 수익률 17.16%, 최근 2년
26.60%)
연금저축D형 (최근 1년
수익률 13.56%, 최근 2년 20.22%)
S연금저축(고위험) (최근 1년
수익률 13.97%, 최근 2년 25.62%)
S연금저축(중위험) (최근 1년
수익률 12.20%, 최근 2년 18.64%)
퇴직연금A형 (최근 1년
수익률 17.73%, 최근 2년 28.01%)
퇴직연금D형 (최근 1년
수익률 13.51%, 최근 2년 21.59%)
S퇴직연금(고위험) (최근 1년
수익률 16.66%, 최근 2년 29.37%)
S퇴직연금(중위험) (최근 1년
수익률 14.71%, 최근 2년 22.41%)
수익성장형 ISA ETF 포트폴리오 (신규출시. 2024.7월 이후 수익률 7.62%)
배당인컴형 ISA ETF 포트폴리오 (신규출시. 2024.8월 이후 수익률 10.48%)
4차산업포커스
(최근 1년 수익률 11.08%,
최근 2년 27.74%)
글로벌ETF&리츠 (최근 1년 수익률 20.18%, 최근 2년
38.72%)
밸런스고위험
(최근 1년 수익률 11.86%, 최근 2년 20.19%)
밸런스중위험
(최근 1년 수익률 12.60%, 최근 2년 19.42%)
이상의 내용을 말씀드립니다.
여러분의 건승과 행운을 기원합니다.
0 개의 댓글